메모2

사천왕상

시계바늘 2011. 7. 16. 15:09

수미산 중턱에 살면서 사방을 지키고 불법을 수호하는

사대천왕(四大天王)·사왕(四王)·호세사왕(護世四王)이라고도 한다.

 

사천왕은 인도신화에 나오는

야차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고 있지만

일찍부터 불교에 받아들여져 원시경전인

"장아함경(長阿含經)" 에 나타나고 있다.

 

사천왕의 조형이 성립된 것은 4세기경

 〈금강명경 〉·〈관정경〉이 유행하기 시작한 이후부터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사천왕 조성 시기

 - 서기 6백년, 금광명경 경집의 영향으로 사천왕 신앙수용.

    8세기 부터 사찰 전반에 조성 (7세기 부터라는 글도 있습니다)

 

벽암스님

 - 임진왜란 당시 승병을 이끌었으며

   송광사, 법주사, 화엄사등 건립했으며

    여러 천왕문 건립했다.(왜란이후건립. 1592년)

    17곳 중 11곳이 승병 조직과 관련 - 사천왕에 의해 호국보호의 의미.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보물 제1254호)

    현존 조선시대 사천왕상 중 가장 오래 되었다.

 

사천왕

동방천왕 - 지국천왕 - 보검 (칼)

남방천왕 - 증장천왕 - 右 -용. 左 - 보주

서방천왕 -  광목천왕 - 탑과 창

북방천왕 - 다문천왕 - 비파

 

이렇게 설명을 해놓은 사찰도 있고

 

동방천왕 - 지국천왕 - 비파

남방천왕 - 증장천왕 - 보검(칼)

서방천왕 - 광목천왕 - 용과 여의주

북방천왕 - 다문천왕 - 탑과 창

 

이리 설명을 해놓은 사찰도 있는데

사찰마다 배치나 지물(持物)이 차이가 나는 건

천왕상 제작시 신앙대상이었던 소의 경전이나

조성자에 따라 달리 배치 되거나 표현됐기 때문이다.

 

 

사천왕과 그 부하들은 천하를 두루 돌아다니면서

세상의 선악을 살피다가 착한 이에게는 상을,

악한 자에게는 벌을 내린다고 한다.

그리고 그 결과를 매달 8일에는 사천왕의 사자(使者)들이,

14일에는 태자(太子),15일에는 천왕 자신이 도리천에 있는

제석천(帝釋天)에게 보고하게 된다.

 

이러한 사천왕이 모셔져 있는 천왕문을 지나려면

몇 가지 관문을 통과해야 한다고 하는데

한없는 욕심과, 시기,질투,분노하는 마음,

자기 자신의 본체를 모르는 어리석음,교만,의심,고집 등의

 그릇된 모습들을 깨닫고 그들의 생각에서

그렇나 그릇된 모습들을 없앨 뿐만 아니라

크게 분별하고 집착하는 마음을 제거해야 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사천왕은 그 문을 통과시켜 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즉 천왕문은 이와 같은 망념을 제거하지 않으면

더 높은 경지로 올라갈 수 없다는 의미를  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