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2
비로자나불(편단우견
시계바늘
2011. 7. 19. 19:09
비로자나불 특이한 수인 때문에
통견으로 처리하는 것이 쉬우며
실제로도 대부분의 비로자나불은 이 형식을 취하고 있다
편단우견으로 할 경우 신체 처리에도 신경을 써야 하고
또 오른팔과 몸이 분리됨으로써 생기는 공간 처리가 쉽지도 않다
통일신라시대의 비로자나불 중
편단우견의 모습을 취하고 있는 곳은
경주 불국사,장곡사 각연사,경북대학교 있는 것 뿐..
* 통일신라시대 3대 금동불
불국사 비로자나불,불국사 아미타불,백률사 약사여래입상(국립경주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