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름마. 가리마 : 가르마 (남양주) 가세 : 가위 (남양주) 가씨어 : 갔어요 (강화) 가염 : 개암 (남양주) 가이 : 개 (강화) 가이다 : 갑시다 (강화) 가지갔다 : 가지겠다 (강화) 각방 : 가게 방. 상점, 점포 (강화) 갔시다 : 갔습니다 (강화) 강주리. 치룽 : 광주리 (남양주) 개꼬리 : 옥수수 순 (남양주) 개싯물돌. 개시룸돌짱 : 수채 (남양주) 개장 : 개집 (남양주) 건저 : 거의. 거지반 (강화) 검은동자 : 검은자위 (남양주)
나려오다 : 내려오다 (강화) 남구. 낭구 : 나무 (남양주) 낭구가지 : 나뭇가지 (남양주) 내쏘다 : 내던지다 (강화) 내적하다 : 대접하다 (강화) 넙적다리. 장딴지 : 넓적다리. 허벅지 (남양주) 노가리 : 노상, 늘 (강화) 놉 : 대가를 받고 일 해주는 사람 (남양주) 누데기 : 누더기 (남양주) 누아이 : 누이 (강화) 눈꼽 : 눈곱 (남양주) 눌은밥 : 누룽지 (남양주) 뉘 : 쌀가루 (남양주)
다딤잇돌 : 다듬잇돌 (남양주) 다락지. 데레끼 : 다래끼 (남양주) 다바지다 : 부서지다 (강화) 닭볕 : 닭벼슬 (남양주) 대가리. 대갈통. 꼴통 : 머리의 낮춤말 (남양주) 대구 : 자꾸 (강화) 더리다. 더럽다. 더러빠지다 : 어리광부리다 (강화) 데리미 : 다리미 (남양주)
매웁다 : 맵다 (남양주) 매이 : 냉이 (강화) 메둘. 멜돌 : 맷돌 (남양주) 메르치 : 멸치 (남양주) 멧방석 : 짚방석 (남양주) 멧쇠. 멧돌쇠 : 아랫맷돌에 박아놓은 쇠 (남양주) 모가지 : 목 (남양주) 목간. 목깐 : 목욕 (남양주) 무말래이 : 무말랭이 (남양주) 무이. : 무 (강화) 무장다리 : 장다리무 (남양주) 물게 : 물가 (팔당) 물돌 : 도랑 (남양주) 미꾸리 : 미꾸라지 (남양주) 미끼리다 : 문지르다 (강화) 민빗 : 얼레빗 (남양주)
바꾸 : 바퀴 (남양주) 바꾸이 : 바퀴 (강화) 바뎅이 : 팔당 지역을 일컫는 토박이말 반질고리 : 반짇고리 (남양주) 방아깽이 : 절구공이 (남양주) 밭도랑 : 밭둑 (남양주) 밭뚝 : 밭둑 (남양주) 배낭구 : 모 (남양주) 버니 : 밤의 속껍질 (남양주) 버리 : 보리 (남양주) 베 : 벼 (남양주) 벨나다 : 별스럽다 (강화)
식헤 : 식혜 (남양주) 심바람 : 심부름 (강화) 쌀틔기 : 튀밥 (남양주) 쏘다 : 차다 (강화) 쏜날 : 찬날 (강화) 쏜물 : 찬물 (강화) 쐬다 : (반니, 장갑을) 끼다 (강화) 쑨 : 순. 고구마 순 (남양주) 쓰레 : 써레 (남양주)
아게미 : 아가미 (남양주) 아궁 : 아궁이 (강화) 아궁지 : 아궁이 (남양주) 아부지 : 아버지 (강화) 아주머이 : 아주머니 (강화) 안녕하시까 : 안녕하세요. 안녕하십니까 (강화) 안배기. 이미기 : 이무기 (양평) 알로 : 아래로 암쇠 (부상쇠) (농악) 애벌매다 : 초벌 김매기를 하다 (남양주) 어리 : 어련히 (강화)
장똑뚜게이 : 장독 뚜껑 (남양주) 장찌 : 도리깨의 손잡이 (남양주) 제치기 : 재채기 (남양주) 주시겨 : 주세요. 주십시오 (강화) 중참 겹두리 : 중참 없이 저녁까지 겸한 오후의 새참 (남양주) 지느레미. : 지느러미 (남양주) 지둥 : 기둥 (남양주)
참이 : 참외 (남양주) 챙 : 처마 (남양주) 철쭈꽃 : 철쭉 (남양주) 초리 : 추녀 (남양주) 칡덩쿨 : 칡넝쿨 (남양주) 칡뿌레기 : 칡뿌리 (남양주)
패이 : 팽이 (강화) 팽개쏘다 : 팽개치다 (강화)
해씨여 : 했어요 (강화) 했시다 : 했습니다 (강화) 허가씨다 : 하겠습니다 (강화) 헌다이다 : -한데 (강화) 험자, 혼차 : 혼자 (강화) 호래이 : 호랑이 (강화) 호무 : 호미 (남양주) 흐이망 : 희망 (강화)
|
'우리말여행 > 사투리열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상도 사투리는 압축어의 왕 (0) | 2008.05.20 |
---|---|
표준어가 지방에서 어떻게 바뀌는지 볼까요?) (0) | 2008.05.20 |
유행어를 전라도사투리로 쓰먼 요로코 돼라 (0) | 2008.05.20 |
표준어 / 전라도 사투리 (0) | 2008.05.20 |
충청도사투리 (0) | 2008.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