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판(火板)·장판(長板)·재판(齋板)·판종(板種)이라고도 한다.
뭉게구름 모양의 얇은 청동 또는 철제 평판이며
두드리면 맑고 은은한 소리가 난다.
매다는 구멍이 뚫린 머리 부분의 모양을 기준으로 할 때
호형(弧形),계관화형(鷄冠花形),맨드라미꽃 모양),여의두형(如意頭形)이 있고
판을 파고 들어가는 부분의 모양을 기준으로 보면
반월형(半月形),와운형(渦雲形)이 있으며
본체모양에 따라 분류하면
오호형(五弧形),여의두형 등이 있다.
운판에 새기는 문양은
구름,해와 달,비천, 옴마니반메홈 등이 있는데
때론 이들 문양을 복합적으로 새기기도 했다.
그 모양이 구름처럼 생겼기 때문에 운판이라고 했는데
원래 선종 (禪宗)사원에서는 재당이나 부엌앞에 달아두고
공양시간을 알리는 도구로 쓰였다.
구름 모양으로 만든 이유는
구름이 물이기 때문이며
불을 다루는 부엌에서 화재를
막는다는 주술적인 뜻도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밥이 다 되어 뜸을 들일때 3번 치므로 화판,
바리때를 내릴 때 길게 치므로 장판이라고도 한다.
지금은 운판을 끼니때에 사용하기 보다는
일반적으로 범종,목어,법고와 함께
아침 저녁 예불을 드릴 때
중생교화를 상징하는 의식 용구로
또는 허공에 날아다니는 짐승들을 제도하기 위하여 치고 있다.
'우리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청 - 칠보문 (0) | 2011.07.17 |
---|---|
담배피는 호랑이 - 수원 팔달사 (0) | 2011.07.16 |
공포 - 물고기를 문 용(용주사 대웅보전) (0) | 2011.07.16 |
비천 (飛天, Apsaras)- 용주사 범종 (0) | 2011.07.16 |
연환문(連環紋) - 수원 용주사 (0) | 2011.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