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형장과 통곡의 미루나무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현저동 101번지에 있었다.
전신(前身)은 형조의 지휘를 받아 죄수를 관장하던 전옥서(典獄署)이며,
1908년(순종 2) 10월 21일 일본인 건축가 시텐노 가즈마[四天王要馬]의 설계에 의해
인왕산록(仁王山麓)의 금계동에 한국 최초의 근대식 감옥인 경성감옥으로 준공되었다.
수용능력은 500명 정도였다.
그후 여러 차례 증축되면서 1912년 일제에 의해 서대문감옥으로,
1923년 서대문형무소로 불렸으며,
1946년 경성형무소, 1950년 서울형무소로 개칭되었다.
1961년 개정된 행형법(行刑法)에 따라 서울교도소가 되었으며
1967년 7월 7일부터 1987년 옥사를 경기도 의왕시로 이전할 때까지 서울구치소로 불렸다.
1919년 3·1운동 당시에는 시위관련자 1,600여 명을 포함해
3,000여 명이 수용된 것을 비롯하여 일제강점기에 허위·유관순·강우규 등
수많은 애국지사가 수감되었던 민족수난의 현장이다.
1945년 이후에도 간첩·사상범, 많은 운동권학생과 재야인사 등이 거쳐간 곳으로서
한국의 교도행정상 빼놓을 수 없는 기념지이다.
이곳에는 유관순굴·특수고문실 등이 있는 감방과 강우규·송학선이 처형된 사형장 및
일반사무실·교회당·공장·창고·취사장·식당·세면장·감시탑과 운동장 등이 있었다.
1987년 3월부터 서울특별시는 민족의 수난과 독립운동의 산교육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이곳 전체를 사적으로 지정, 서대문 독립공원으로 조성했다.
*서대문형무소 하면 붉은 벽돌이 떠오르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드는데
붉은 벽돌은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된 독립투사들을 이용해
찍어낸 벽돌로 지었으며 영구보존으로 지정 되어 있단다.
벽돌엔 京 자가 찍혀 있다고....
현지교통 : * 시내버스 471, 701, 702, 703, 720, 752번 버스 이용, 독립문 하차
* 지하철 3호선 독립문역 하차 . 5번 출구로 나가면 바로 보임.
길 안 내 : 경부고속도로 - 반포대교 - 남산 3호터널 - 시청앞 - 광화문 - 사직터널 -
대신중고 앞 - 서대문독립공원
주변숙박지 : 호텔 미라보 (02-393-5581)
주변관광지 : 봉원사, 연세대학교 박물관,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인왕산
정보제공자 : 서대문구청 문화체육과 공보실
전 화 : 02-330-1410∼2
팩 스 : 02-330-1430
* 지하철 3호선 독립문역 하차 . 5번 출구로 나가면 바로 보임.
길 안 내 : 경부고속도로 - 반포대교 - 남산 3호터널 - 시청앞 - 광화문 - 사직터널 -
대신중고 앞 - 서대문독립공원
주변숙박지 : 호텔 미라보 (02-393-5581)
주변관광지 : 봉원사, 연세대학교 박물관,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인왕산
정보제공자 : 서대문구청 문화체육과 공보실
전 화 : 02-330-1410∼2
팩 스 : 02-330-1430
'우리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麻谷寺 (마곡사) (0) | 2008.12.18 |
---|---|
삼각산 길상사의 가을 2 (三角山 吉祥寺) (0) | 2008.10.30 |
삼각산 길상사의 가을 1(三角山 吉祥寺) (0) | 2008.10.30 |
사육신공원(노량진역) (0) | 2008.10.28 |
충남 공주 갑사 (0) | 2008.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