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여행/메모

엿먹어라 유래

시계바늘 2008. 10. 8. 00:22

 

1964년 12월 7일 전기 중학입시의 공동출제 선다형(選多型) 문제 가운데 

"엿기름 대신 넣어서 엿을 만들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라는 질문이 있었답니다. 당시 정답으로 채점된 것은 디아스타제였지만 

보기 중 하나였던 무즙도 답이 된다는 것이 이 사건의 발단이었죠. 

 

사실 우리가 먹는 음식 중에 엿으로 만들 수 있는 것은 거의 없습니다. 

 

다른 번호를 답이라 기표한 학생들의 학부모들은 난리가 났습니다. 

급기야 무즙 을 답으로 써서 낙방한 학생의 학부모들은 이 문제를 법원에 제소하였고 어머니들 

은 항의가 제대로 받아들여지지 않자, 급기야 무로 엿을 만들어 대입과 관련된 모 

든 기관(문교부, 교육청, 대학 등)에 찾아가 엿을 들이밀었죠. 무즙으로 만든 엿 

을 먹어보라고 하면서 솥째 들고 나와 시위를 벌인 겁니다. 

 

그때나 지금이나 우리 어머님들의 교육열(?), 치맛바람은 대단한 것이죠. 

 

"엿 먹어! 이게 무로 쑨 엿이야, 빨리 나와 엿먹어라! 엿먹어라! 엿먹어라!" 

이 엿 사건은 장안에 엄청 화제가 된 사건입니다. 

 

요즘 말로 짱 엽기적인 사건이었죠. 

 

결국 김규원 당시 서울시 교육감, 한상봉 차 

관 등이 사표를 내고 6개월이 지나 무즙을 답으로 써서 떨어진 학생 38명을 정원 

에 관계없이 경기중학 등에 입학시켜 수습됐지만 갈팡질팡한 입시 제도와 고관대 

작 부인들의 한국적 치맛바람이 어울려 유례없는 입시 혼돈이 빚어진 사건이었습니다

 

http://cafe.daum.net/baeksa./ST9Q/6주소 복사

 

 

 ha Maisky(미샤 마이스키) cello

해변의 노래 / 미샤 마이스키첼로 연주

'우리말여행 > 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 지역 수돗물 명칭  (0) 2008.12.31
지역별 한우브랜드   (0) 2008.12.03
[스크랩] 아더왕과 원탁의 기사  (0) 2008.10.17
[스크랩] 기게스의 반지  (0) 2008.10.15
안성남사당 바우덕이 풍물단  (0) 2008.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