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2

범종 - 유곽

시계바늘 2011. 7. 16. 14:53

 

종의 윗 부분 네 곳에 새겨진 네 모난 테를 말한다.

유곽이 네 개인 것은 춘하추동 4계절과

사제(고제, 집제, 멸제, 도제),

사생(난생,태생,화생,습생)을 나타낸 것이다.

 

하나의 유곽 속에 있는 9개의 꼭지를 유두라 하는데

유곽과 유두는 중국이나 일본의 범종에는 찾아볼 수 없는 것으로

중국  은 . 주 시대의 용종(勇鐘),혹은 탁(鐸)에

나타난 돌기(이것을 매(枚)라 함)가 변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

 

한 유곽 안의 9개 유두는

천 . 지 . 인 三才에 의한 구궁법(九宮法 3X3 = 9)의 9를

4개 유곽 안의 유두를 모두 합한 숫자 .

4 개 유곽 안의 유두를  모두 합한 숫자인 36은

36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메모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산마애삼존불상(瑞山磨崖三尊佛像)  (0) 2011.07.16
전통문양 - 가릉빈가  (0) 2011.07.16
목어  (0) 2011.07.16
梵鐘(범종의 부분 명칭)  (0) 2011.07.16
사찰 다리 명칭에서  (0) 2011.07.16